Network 8

[Udemy] Cisco CCNA 200-301 완전 정복 Section 12

[Udemy] Cisco CCNA 200-301 완전 정복 Section 12 [패킷의 삶]강의를 시청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.DNS(Domain Name System) 개요OSI 계층과 DNS 역할패킷 전송은 OSI 7계층 중 응용층에서 시작**전송층(4계층)**에서 TCP/UDP 및 포트 번호(예: HTTP - 80) 설정**네트워크층(3계층)**에서 출발지 및 목적지 IP 주소 입력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직접 IP 주소 입력 대신 FQDN(예: www.cisco.com) 사용DNS 역할: FQDN을 IP 주소로 변환DNS 서버 구조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내부 DNS 서버를 운영내부 DNS 서버는 사내 도메인(FQDN)과 IP 주소 매핑 관리외부 도메인 요청 시 내부 DNS 서버는 공공 DN..

[Udemy] Cisco CCNA 200-301 완전 정복 Section 11

[Udemy] Cisco CCNA 200-301 완전 정복 Section 11 [Cisco 장치기능]강의를 시청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. 허브와 스위치의 기초 및 차이점 허브와 스위치의 역할허브와 스위치는 종단 호스트(PC, 서버, 프린터 등)를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함스위치는 여러 개를 연결하여 더 큰 네트워크 구성 가능 (스위치 간 링크 활용)허브의 특징반이중 모드만 지원 (송신 또는 수신 중 하나만 가능)모든 호스트가 같은 충돌 도메인 공유 → 충돌 발생 가능CSMA/CD(충돌 감지 및 복구) 사용OSI 1계층에서 작동 → MAC 주소 인식 불가능프레임을 수신한 모든 포트로 브로드캐스트스위치의 특징반이중 및 전이중 모드 지원 (일반적으로 전이중으로 작동 → 송수신 동시..

[Udemy] Cisco CCNA 200-301 완전 정복 Section 9

[Udemy] Cisco CCNA 200-301 완전 정복 Section 9 [데이터링크층]강의를 시청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. OSI 2계층 – 데이터링크층프레임은 비트로 인코딩/디코딩되어 물리층에 배치오류 감지 및 수정 가능 (프로토콜에 따라 다름)이더넷(Ethernet) → LAN에서 가장 흔한 2계층 매체WAN에서는 PPP, Frame Relay 등 다양한 2계층 프로토콜 존재PDU(Protocol Data Unit) 용어 정리응용층 → 데이터(Data)전송층 → 세그먼트(Segment)네트워크층 → 패킷(Packet)데이터링크층 → 프레임(Frame)전송되는 데이터는 동일하지만, 계층별로 부르는 이름이 다름이더넷 헤더 구조프리앰블(Preamble) → 송수신 동기화출발지/목적지 MAC..

[Udemy] Cisco CCNA 200-301 완전 정복 Section 6

[Udemy] Cisco CCNA 200-301 완전 정복 Section 6 [네트워크층]강의를 시청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. 1. IP헤더  네트워크층 (OSI 3계층) 핵심 요약네트워크층 역할: 패킷을 목적지로 라우팅하며, 라우터가 작동하는 계층서비스 품질 (QoS): 특정 트래픽(예: 음성·영상)이 더 나은 서비스를 필요로 함IP 프로토콜: 가장 중요한 제3계층 프로토콜, IPv4와 IPv6 존재IP는 비연결형: 자체 응답 없음, 안정적 트래픽을 위해 제4계층(TCP) 사용ICMP·IPSec: ICMP(문제 해결·핑), IPSec(보안·암호화)IP 주소와 서브넷IP 주소 지정: 논리적 주소로 네트워크를 서브넷(하위 네트워크)으로 분할성능 향상: 트래픽을 특정 서브넷에만 제한보안 강화: 특..

[Udemy] Cisco CCNA 200-301 완전 정복 Section 5

[Udemy] Cisco CCNA 200-301 완전 정복 Section 5 [전송층]강의를 시청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.1.전송층 헤더, TCP와 UDP 전송층 (OSI 모델 4계층)전송층은 호스트 간 데이터를 투명하게 전송하고, 오류 복구와 흐름 제어를 담당함. 그러나 제4계층 프로토콜이 항상 오류 복구나 흐름 제어를 지원하는 것은 아님.흐름 제어: 수신 호스트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발신자가 전송 속도를 조정하는 과정. 예를 들어, 발신자의 속도가 너무 빨라 수신자가 처리하기 벅차면 흐름 제어가 발동하여 속도를 늦춤.세션 다중화: 여러 세션을 동시에 지원하고 개별 트래픽 흐름을 관리.포트 번호: 각 트래픽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는 데 사용. 예) HTTP는 80번 포트, SMTP는 ..

[Udemy] Cisco CCNA 200-301 완전 정복 Section 4

[Udemy] Cisco CCNA 200-301 완전 정복 Section 4 [Cisco IOS 운영체제]강의를 시청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.1. Cisco 운영체제 Cisco 운영 체제 개요대부분 IOS 사용하며, 일부 최신 장비는 NX-OS, IOS-XR, IOS-XE 운영.명령어 구조가 유사해 일관된 관리 가능.Cisco의 역사와 운영 체제 발전라우터 제조업체로 시작해 IOS 운영 체제 사용.Crescendo 인수 후 Catalyst 스위치 도입, CatOS에서 IOS로 통합.방화벽 시장 진입, PIX 도입, 이후 ASA로 발전.운영 체제별 적용 장비IOS: 일반 라우터 및 스위치에서 사용.NX-OS: 데이터 센터용 스위치(Nexus, MDS)에 적용.IOS-XR: 고급 서비스 제공 라우..

[Cisco] IOS Operating System LAB

개요  이 LAB 에서는 Cisco IOS 운영 체제 CLI(명령줄 인터페이스)의 기본 탐색을 다룹니다.Cisco packet trace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습니다.   1. Privileged Exec mode 전환  명령어 enable 은 User모드(>) 에서 Privileged Exec mode (#) 로 변경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. enable  를 실행하면 모드가 변경됩니다. 이 모드에서는 장비 상태 확인, 트러블슈팅, 설정 저장, 재부팅 등 주요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 2. 장치 재시작  명령어 reload 는 장치를 재시작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.reload를 입력하면 Proceed with reload? [confirm] 이 출력되는데이 부분에서 엔터키를 한번 더 ..

Network/LAB 2025.03.10

[Udemy] Cisco CCNA 200-301 완전 정복 Section 3

[Udemy] Cisco CCNA 200-301 완전 정복 Section 3 [호스트 간 통신]강의를 시청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. 1. 아주 기초적인 네트워킹 개요  LAN (로컬 네트워크): 스위치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(WAP)로 사무실 내 장치 연결인터넷 연결: 라우터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보안: 방화벽 및 추가 보안 장치(라우터, 스위치, 침입 방지 시스템) 활용WAN (광역 네트워크): 지사 간 인터넷 또는 전용선 연결네트워크 주요 특성:토폴로지: 장치 연결 방식속도: 빠를수록 비용 증가보안: 다양한 보안 장치 활용가용성: 이중화 설계로 안정성 확보확장성: 변화 없이 확장 가능해야 함신뢰성: 지속적인 운영 가능성 보장 2. OSI 참조 모델의 개요 1. OSI 모델 개요**IS..